리눅스 쉘 마스터 - 인프런 강의 소개
안녕하세요.
저는 제조업 QC의 5년 경력을 전환하여 IT 업종전환을 한 지 벌써 6개월이 지났습니다.
저는 테스팅 자동화 엔지니어의 직무로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테스트 케이스를 검증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처음엔 개발자를 목표로 이직을 준비했지만 과거의 품질관리 경력을 조금이나마 살려 소프트웨어의 QA직무를 수행하고자 했고 실무로 리눅스 쉘을 돌리며 테스팅하고 있는데요.
인수인계로 받은 manual을 수행하며 무리 없이 적응하였습니다.
SW의 개발자 또는 엔지니어로서 성장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꾸준히 관련 지식을 채우기 위해 노력중입니다.
이번 강의는 회사의 팀장님으로부터 기본기를 채울 수 있는 강의를 추천받았습니다.
리눅스 쉘 마스터를 정리하면서 저의 지식을 습득하고 업무에서 좀 더 발전된 모습을 기대하며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이 8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목차
0. 리눅스 기본
1. 쉘 기초 명령어
2. 쉘 스크립트
3. 정규 표현식과 검색도구
4. 비교와 루프문
5. 배열
6. 입출력과 환경변수
7. 유용한 유틸리티
8. 파이프와 작업제어
리눅스의 쉘 스크립트를 왜? 배워야 하는지! 강의 소개를 통해 정리되어 있습니다.
초급자를 위해 준비한 **[자동화, 서버 개발] 강의입니다.**
리눅스 쉘 스크립트를 공부할까 말까 망설이는 당신에게 한 가지만 말하겠습니다. 해커처럼 멋있게 리눅스를 다루고 싶은가요? 쉘 스크립트를 모르는 해커를 상상할 수 있나요? 그럼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 리눅스 쉘은 개발자들에게 스위스 아미 나이프와 같은 것
서버 측 JavaScript, Python 및 기타 언어의 경우 개발 환경은 실제로 쉘입니다.
많은 엔지니어들은 작업할 때 간단한 명령 줄 도구에 직접 액세스 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현대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이용하기 위해 쉘 기반에서 종속성 관리 및 패키징 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쉘은 복잡한 구성 요소를 설치하지 않고도 누구나 액세스 할 수 있는 공통 환경 그리고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와 개발자 도구의 다양성은 증가했지만, 여러 면에서 엔지니어가 사용하는 운영 플랫폼은 오히려 단순화되었습니다.
엔지니어들은 Docker를 통해 운영 환경이 훨씬 더 균일하고 Linux와 비슷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컨테이너화 된 작업의 경우 Linux 및 셸 기술이 중요합니다. 이것은 쉘에 대한 관심도 증가를 불러왔습니다.
오픈 소스의 경우 Linux의 컨테이너에서 실행되도록 빌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쉘은 Linux 시스템을 관리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써 지금에 이르고 있으며, 많은 개발자들이 Linux 시스템을 운영 환경으로 표준화함으로써 쉘 기술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의 주요 흐름인 DevOps는 한 그룹이 기능 개발에 집중하고 다른 그룹이 안정적인 소프트웨어 운영에 중점을 두는 대신 단일 그룹이 이 두 가지를 모두 담당합니다.
✍️이런 걸 배워요!
- 쉘에서 사용하는 모든 특수 문자의 역할을 이해
-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의 차이를 포함한 인용부호의 올바른 사용
- find와 xargs
- 쉘 변수와 환경변수의 차이를 이해하기
- 리눅스 필수 명령어(tr, sort, seq, cat, hexdump, cut, uniq, tee, echo, printf, read, wc, comm)
- EXPORT를 목적에 맞게 올바르게 사용하기
- 함수와 엘리아스의 차이점
- 자동화 스크립팅 예약 만들기
-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4가지 방법
- 스크립트의 효율적인 디버깅 방법 3가지
- 히어 도큐먼트와 히어 스트링
- eval
- 정규 표현식과 grep, sed
- 해커처럼 BASH 쉘 스크립트 작성하기
강의 경로
리눅스 쉘 스크립트 마스터 - 인프런 | 강의
리눅스 쉘 스크립트를 공부할까 말까 망설이는 당신에게 한 가지만 말하겠습니다. 해커처럼 멋있게 리눅스를 다루고 싶은가요? 쉘 스크립트를 모르는 해커를 상상할 수 있나요? 그럼 지금 바로
www.inflearn.com
8개의 목차와 총 101개 수업˙총 6시간 8분 을 수강을 진행하면서 리눅스의 필수 명령어와 쉘 스크립트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해보려고 합니다. 지금까지 2번 목차까지 보았고 정리되는 대로 포스팅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