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운것/용어정리

클라우드 컴퓨팅의 유형

SangPedia 2025. 3. 22. 16:36

안녕하세요. TopSecret 상피디아입니다.
제가 요즘 듣고 있는 강의를 정리하고자 듣고 정리하고자 합니다.

패스트캠퍼스의 "한번에 끝내는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초격차 패키지 Online."이라는 강의인데요.
개인이 공부하기에는 클라우드는 솔직히 말해서 온프레미스 보다 돈이 많이 들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필요한 자원에 있어 한번에 지불하는 서버의 구입 비용 보다는
필요에 따라 늘리고 줄일 수 있는 클라우드의 비용이 절감이 들 수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정리한 글이 구독자님들께서 도움이셨으면 좋겠어요.😘
자~! 제가 정리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유형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유형 및 설명 정리:

  1. 퍼블릭(Public) 클라우드
    • 사용자는 컴퓨팅 리소스를 "소유하지 않음"
    • 인터넷을 통해 제공
  2. 프라이빗(Private) 클라우드
    • 특정 조직 내에서 컴퓨팅 리소스를 "소유"
    • 사설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
    • 가상 컴퓨팅 기술을 직접 구축
  3. 하이브리드(Hybrid) 클라우드
    •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또는 데이터센터 간 네트워크를 연결
    •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을 공유
  4. 멀티(Multi) 클라우드
    • 다수의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
    • 예시: AWS + GCP + Azure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와 멀티 클라우드(Multi Cloud)는 이름은 비슷하지만 구성 목적, 연동 방식, 운영 전략이 확연히 다릅니다. 아래에서 구조, 활용 목적, 적용 시 고려사항까지 구체적으로 비교해볼게요.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vs 멀티 클라우드 차이점

항목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
정의 퍼블릭 + 프라이빗 클라우드 간 연결 둘 이상의 퍼블릭 클라우드 활용
연동 방식 두 환경 간 데이터와 서비스 연동 필수 서로 연동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
목적 민감 정보는 프라이빗, 나머지는 퍼블릭으로 분산 특정 클라우드 종속 벗어나고, 비용·성능 최적화
예시 내부 ERP는 프라이빗, 웹서비스는 AWS 퍼블릭 GCP는 AI 학습용, AWS는 백엔드 서비스 운영용
관리 복잡도 중간 (연동 및 보안 고려 필요) 높음 (서로 다른 플랫폼 관리 필요)
보안 고려 보안 강화 목적 포함 각 클라우드별 보안 정책 개별 적용

 


🔍 적용 시 고려사항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고려사항

  1. 데이터 연동 설계:
    → 온프레미스와 퍼블릭 클라우드 간 데이터 이동 및 동기화 방안 필요 (예: API Gateway, VPN, Direct Connect 등)
  2. 보안 정책 통합:
    → 두 환경 간 접근 제어, 인증 방식 통일 필요 (예: SSO, IAM 통합)
  3. 워크로드 분리 전략:
    → 어떤 워크로드를 프라이빗에 둘 것인지 명확히 구분
  4. DR/백업 전략:
    → 재해복구 구조 설계 시 양쪽 환경 모두 대응 방안 수립 필요

🔹 멀티 클라우드 고려사항

  1. 벤더 종속 방지 전략:
    → 특정 CSP에 종속되지 않도록 다양한 플랫폼 운영 능력 필요
  2. 모니터링 및 통합 관리:
    → 서로 다른 클라우드 환경을 하나의 콘솔이나 시스템에서 관리할 수 있는 도구 필요 (예: Datadog, Dynatrace)
  3. 비용 최적화 전략:
    → 각 CSP별 과금 방식 다름 → 비용 추적 및 비교 필수
  4. 운영 인력의 숙련도:
    → AWS, GCP, Azure 등 복수 환경에 대한 운영 경험 필수

✅ 정리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보안’과 ‘기존 인프라 연계’ 중심.
  • 멀티 클라우드는 ‘유연성’, ‘비용 절감’, ‘벤더 종속 탈피’가 핵심.
  • 기업 규모, 산업 특성, 보안 요구 사항에 따라 선택과 설계 방향이 달라짐.

    필요에 따라 고성능의 컴퓨터를 빌려서 쓰거나 필요없을 때 바로 반납을 하는 느낌이 대출과도 같은 느낌입니다.
    결국 클라우드도 제공하는 업체가 남는 자원을 활용해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필요가 없으면 바로 반납이 가능하니 얼마나 효율적인 기술인가요.
    (중고로 팔아도 바로 안팔리고,, 시간과 비용이 들죠)

    클라우드는 공개를 하던 비밀로 제공하던 결국 남는 자원을 공유하는 서비스라는 것을 잊지 마시고 남들이 다 사용한다고 쓰는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자사 서비스에 적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