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세상의 TopSecret IT 지식 상피디아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은 IaaS, PaaS, SaaS로 나뉘며, 사용자의 책임 범위는 SaaS로 갈수록 줄고 제공자의 책임은 커집니다.
🔍 클라우드 서비스 책임 구분이 중요한 이유
클라우드를 도입하면서도 “누가 어디까지 책임지나?”라는 질문은 여전히 많은 조직에서 혼란을 줍니다. 특히 보안 사고 발생 시, 이 책임 구분이 불분명하면 대응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비스 모델별 책임 범위를 명확히 아는 것이 클라우드 전략의 핵심입니다.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
- 제공자 책임
- 물리 서버
- 스토리지
- 네트워크
- 가상화 계층 (Hypervisor)
- 사용자 책임
- 운영체제(OS)
- 미들웨어
- 런타임
- 애플리케이션
- 데이터 및 보안
✅ 예시: AWS EC2, Microsoft Azure VM, Google Compute Engine
인프라는 제공되지만, OS와 애플리케이션 관리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몫입니다.
🔹 PaaS (Platform as a Service)
: 개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 제공자 책임
- 인프라 + OS
- 미들웨어
- 런타임 환경
- 사용자 책임
- 애플리케이션 코드
- 데이터 관리
- 애플리케이션 보안
✅ 예시: Google App Engine, AWS Elastic Beanstalk, Azure App Services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대부분의 운영 요소를 제공자가 관리합니다.
🔹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서비스
- 제공자 책임
- 인프라부터 애플리케이션까지 전부
- 보안, 백업, 유지보수 포함
- 사용자 책임
- 계정 관리
- 데이터 입력 및 사용
✅ 예시: Google Workspace, Microsoft 365, Dropbox, Salesforce
사용자는 로그인 후 기능만 사용하면 되므로, 기술 운영 부담이 없습니다.
📊 사용자/제공자 책임 비교 요약표
항목 | IaaS | PaaS | SaaS |
---|---|---|---|
인프라 관리 | 제공자 | 제공자 | 제공자 |
OS 관리 | 사용자 | 제공자 | 제공자 |
런타임 관리 | 사용자 | 제공자 | 제공자 |
애플리케이션 개발 | 사용자 | 사용자 | 제공자 |
데이터 보안/관리 | 사용자 | 사용자 | 사용자 일부 |
🧩 주요 키워드
IaaS
, PaaS
, SaaS
, 클라우드 서비스 책임 구분
, 사용자와 제공자
, 클라우드 보안
✅ 실무자 관점 핵심 체크포인트
- 문제 인식: 클라우드 이전 후 보안 책임 구분이 모호해 혼란을 겪는 기업 많음
- 해결책 제시: 모델별 책임 구조를 명확히 이해해야 클라우드 전략 수립 가능
- 행동 유도: "우리 조직의 책임 범위는 어디까지인가요? 모델별 체크리스트부터 확인하세요!"
💡 이런 소비자에게 공감됩니다
“사내에서 클라우드 도입은 했지만, 누가 무엇을 관리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아서 매번 보안사고에 불안해요.”
“책임 범위가 명확하지 않아서 운영부서와 개발부서 간 충돌이 생깁니다.”
→ 위 구조표와 예시를 통해 우리 조직의 책임이 어디까지인지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IaaS, PaaS, SaaS)과 On-Premise 환경에서 사용자와 제공자의 계층별 책임 범위를 시각적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 사용자 책임 영역
🟦 제공자 책임 영역
'배운것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클라우드 제공업체 비교: AWS, Azure, GCP 분석 (0) | 2025.03.26 |
---|---|
클라우드 컴퓨팅의 유형 (0) | 2025.03.22 |
클라우드 서비스의 6가지 특징 (0) | 2025.03.22 |
Chat GPT 마스터 클래스_기초부터 실무(1) (3) | 2024.12.23 |
[IT 용어] 보안 관련 (0) | 2022.05.23 |